반응형
VMware
- 가상화 기술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회사이며, 이 제품군을 통칭
-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를 논리적으로 추상화해서 하드웨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줌
- 기업용 인프라의 중심 플랫폼
- 고가용성, 유연성, 보안성을 확보한 채 물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상화 솔루션
- 원래는 온프레미스 방식이 기본이었으나, 지금은 클라우드 확장을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출시함
기본 구성 요소
구성요소 | 설명 |
---|---|
기본 OS(Host OS) | Windows/Linux 등 실제 컴퓨터에 설치된 OS |
VMware Workstation/ESXi | 가상화 프로그램 |
Guest OS | VMware 위에 설치되는 Windows Server 같은 가상 OS |
핵심 구성요소
구성요소 | 설명 |
---|---|
vSphere | VMware의 핵심 가상화 플랫폼. vCenter + ESXi 포함 |
ESXi | VMware의 하이퍼바이저. Bare-metal 위에 직접 설치됨 |
vCenter Server | 여러 ESXi 호스트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관리 서버 |
vSAN | 스토리지를 가상화해 풀로 묶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|
NSX | 네트워크 가상화 플랫폼. 보안, 라우팅, 로드밸런싱까지 지원 |
VMware Tools | 게스트 OS 성능 향상을 위한 도구(시간 동기화, 드라이버 등) |
Hypervisor(하이퍼바이저) : 하드웨어 위에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올릴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또는 플랫폼. 하나의 물리 서버(호스트)에서 여러 개의 운영체제(게스트 OS)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가상화의 핵심
구분 설명 Type 1(Bare-metal) 하드웨어 위에 직접 설치. 고성능, 고안정성.기업용 인프라에 사용 Type 2(Hosted) 일반 OS 위에 설치. 개인 개발/테스트용. 일반 PC나 노트북에 설치
- Bare-metal(베어메탈) : 운영체제 없이 하드웨어 그 자체, 혹은 OS 없이 바로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는 방식. 서버에 아무것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순수한 상태 = 베어메탈 상태
사용 이유
항목 | 이유 |
---|---|
리소스 통합 | 여러 대의 물리 서버를 가상화로 묶어 자원 활용률 극대화 |
고가용성(HA) | 호스트 장애 시 자동으로 VM을 다룬 호스트로 이동시켜 서비스 무중단 유지 |
vMotion | 실행 중인 VM을 다운타임 없이 다른 호스트로 실시간 이전 가능 |
DR/백업 연동 | Veeam, NetBackup 등과 연동해 백업/복구 체계 구성 용이 |
온프레미스 + 클라우드 연동 | VMware Cloud on AWS 등과 연계 가능. 클라우드 전환에 유연함 |
AWS EC2 vs VMware
- EC2는 AWS가 대신 만들어준 가상 서버이고, VMware는 우리가 직접 만드는 가상 서버 플랫폼임
- 둘 다 가상 머신(VM)을 돌리는 기술이지만, 누가 어떻게 어디서 얼마나 제어하는지가 다름
항목 | AWS EC2 | VMware |
---|---|---|
위치 | 퍼블릭 클라우드(AWS 서버) | 온프레미스, 프라이빗 클라우드 |
소유권 | AWS가 서버/하이퍼바이저 소유 | 우리가 직접 서버/하이퍼바이저 운영 |
하이퍼바이저 | AWS가 내부에서 관리 | 직접 설치한 ESXi |
서버 생성 방식 | EC2 인스턴스 생성 클릭 -> 바로 생성 | VM 생성 전 서버/스토리지/네트워크 구성 필요 |
제어 범위 | 제한적(인스턴스 수준 제어만 가능) | 전체 인프라 제어 가능(CPU/메모리/NIC/스토리지 등) |
관리 도구 | AWS 콘솔, CLI, SDK | vCenter, PowerCLI, vSphere Client 등 |
장애 대응 | AWS가 자동 복구 또는 알림 제공 | 우리가 직접 HA, 백업, vMotion 구성 |
확장/축소 | 쉽고 빠름(Auto Scaling 등) | 수동 또는 자동화 구성 필요 |
비용 | 사용한 만큼 과금(OPEX) | 장비 도입 및 라이선스 필요(CAPEX) |
보안 통제권 | AWS에 일부 위임 | 완전한 통제권(OS, 네트워크, 저장소 등) |
- AWS EC2 : AWS가 만들어놓은 큰 아파트에 월세로 방 하나를 빌려서 바로 컴퓨터를 켜는 느낌. 전기, 수도, 수도꼭지 등이 다 세팅되어 있어서 전기 배선이나 벽을 못 뜯음 -> 제어 범위 제한
- VMware : 우리가 건물을 직접 설계하고, 뼈대 올리고, 방도 직접 만들고, 배선도 깔기. 어떤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를 쓸지도 직접 정하고 관리, 유지보수도 100% 담당.
OPEX(운영비용) vs CAPEX(자본지출)
구분 | CAPEX(Capital Expenditure) | OPEX(Operating Expenditure) |
---|---|---|
의미 | 자산 구매에 드는 돈(한 번에 크게 지출) | 운영 유지에 드는 돈(지속적으로 나가는 비용) |
예시 | 서버, 스토리지, 스위치 장비 구매 | 전기세, 유지보수비, 클라우드 사용료 |
비용 처리 | 감가상각(몇 년에 걸쳐 나눠서 처리) | 사용한 만큼 비용 처리 |
인프라 예 | 사내에 직접 구매 + IDC 구축 | AWS EC2, S3 등 클라우드 자원 사용료 |
Auto Scaling(자동 확장)
- 서버 수를 트래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기능. 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
효과 | 설명 |
---|---|
비용 절감 | 피크 시간 외엔 서버 수 줄이기 |
무중단 처리 | 서버 자동 추가로 트래픽 감당 |
자동화 | 운영자가 수동 개입 안 해도 됨 |
반응형
'인프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, VMware의 차이 (0) | 2025.06.21 |
---|---|
OS 로컬 설치 vs VM 방식 (0) | 2025.06.21 |